VOLUME EXIT

MASTERCLASS ON VOLUME EXIT
당신은 언제 매매를 종ㄹ해야할까?
거래량을 이용하여 매매종료를 결정한다.
거래량과 가격움직임의 특성을 이해하기
1. 거래량이 증가하는 가격 상승은 불리쉬하다
2. 거래량이 감소하는 가격 상승은 불리쉬하지 않다.
3. 거래량이 증가하는 가격 하락은 베어리쉬하다.
4. 거래량이 감소하는 가격 하락은 베어리쉬 하지않다.

참고 - 위의 코멘트를 자세히 읽고 이 CHEAT-SHEET을 봐라.
경고 - 2번째와 4번째 문장에 주의하라.
Not bullish doesn't mean bearish and Not bearish doesn't mean bullish
그러므로 저런 거래량 다이버전스가 등장하면, 매매종료 기회를 찾아라.
평균 이하의 거래량 = 조심
만약 평균 이하의 거래량으로 가격 상승이 오거나 가격 하락이 왔다면 그것은 조심해야하는 신호이다.
가격 변화가 낮은 시장 참여율로 만들어졌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만약 진입 이후에 움직임이 평균 거래량 아래에서 형성된다면, 나갈 기회를 찾아라.
Price action은 비교적 큰 시장 참여의 방향을 따라간다.
평균 이하 거래량 = 개미 참가자
높은 거래량 = 빅플레이어 의 시장 참가
거래량 다이버전스
아래 예제엇 나는 거래량 다이버젼스를 직접 설명해놓았다.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매매 종료을 위해 추세전환 신호를 찾아라.


매매 예제:
1. 지지선이 여러번 테스트됨
2. 증가하는 거래량과 함께 가격이 하락함.
3. 새로운 지지선이 붕괴되면서 진입이 결정됨.
트리비아 - 지지선이 테스트되면 될수록 이것은 더 약해진다.

CANDLE BODY AND VOLUME ANOMALY
이 이론은 David H. Wies가 처음 설명하였다.
아래 경우에 매매를 종료하라- 상승추세- 증가하는 거래량- 작은 몸통과 큰 윗 꼬리- 갑작스런 거래량 점프ㅈ

리테스트 vs. 추세전환
사람들은 종종 일반적인 조정을 추세전환으로 판단한다.
나는 retracement에서 숏 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retracement에서 포지션은 "추가"되어야 한다.
꼭! 이 차트를 주의 깊게 읽어라.

나는 어떻게 거래량을 이용해서 진행중인 매매를 종료할 수 있는지 설명했다.
당신은 위의 내용을 요약하고 라이브 차트에서 모의 투자를 통해 시도해볼 수 있다. 거래량을 마스터하기 위해 100번의 진입을 해보라.